** 네트워크, 네트워킹 **
네트워킹 : 단말들(컴퓨터, 휴대폰, IoT 기기)을 연결해 주는 것
왜 단말들을 연결하는 걸까? 연결해서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바로 " 통신 " !!
정보를 주고받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단말 간의 통신을 하는 것
이것이 바로 네트워킹의 목적!
연결은 어떻게 하는가?
서버 컴퓨터와 같은 매우 고가의 장비를 여러 대가 아닌 한 대로
여러 명이 네트워킹을 통해서 장비(서버 컴퓨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SSH, FTP 등을 통해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한 대의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함
이것이 발전해서 여러 대 모두를 함께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네트워킹이다.
** telnet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 보안 문제 때문에 사용률이 감소하여, 원격 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되기도 함
** FTP ( File Transfer Protocol )
-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 보안이 취약해 실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음
- SFTP는 SSH방식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암호화된 구간에서 FTP 기능 이용 가능
** SSH ( Secure SHell )
- SSH 클라이언트와 SSH 서버의 관계로 상호작용하면서 SSH 서버가 설치된 운영체제를 제어
- 텔넷의 보안 버전
-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임
- 대표 클라이언트 : PuTTY, Xshell
그러나 장비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바로 통신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장비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서로간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 다르다면 서로간에 통신이 불가능하다.
즉, 네트워크에서 단말들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통신 방식, 즉 통신 규칙을 정해서 정해진 규칙대로만 통신을 시도해야 한다.
이를 통신 프로토콜이라 한다.
[[ 정리 ]]
네트워킹 : 단말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것
네트워크 : 서로 통신이 가능한 단말들의 연결
** 인터넷 **
Internet -> Inter : ' ~간의'
-> Inter Network : Internet : ' 네트워크 간의 연결 '
[[ 정리 ]]
인터넷 :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것
왜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할까요?
네트워크는 각각의 회사나 단체에서 자신들의 통신망을 만들어서 그 내부에서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서 구축 ( 이를 LAN이라 한다. )
결국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들 간에만 통신이 가능하고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한 단말과는 통신이 불가능
그러나 자신들만의 정보나 자원만으로 모든 것이 충분하지는 않다.
다른 회사나 단체의 정보를 받아야 할 필요도 있고 역으로 공유해줘야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이런 경우 각각의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더라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정보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네트워크 간에 서로 통신이 가능하려면 위에서 얘기했던 통신 프로토콜을 서로 같은 것으로 합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에서는 TCP/IP라는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만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해서 무언가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손쉽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정리 ]]
소규모 네트워크들이 더욱 발전하고 서로 접속함에 따라 현재는 전 세계적인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집합체
** 인트라넷 **
Intra Network : Intra '내부의'
: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내부의 사용자들끼리만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넷과 달리 인트라넷은 외부의 네트워크의 사용자는 절대 내부의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없습니다.
내부의 보안이 중요한 경우에는 인트라넷을 구축한다.
** 클라이언트/ 서버 **
- 컴퓨터간의 관계를 역할로 구분하는 개념
-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사용'하는 컴퓨터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사양의 하드웨어를 갖춘 컴퓨터가 많다.
서비스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파일서버, 메일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이 있다.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버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버 프로그램과 연결할 수 있는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일반 PC의 경우 주로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지만,
FTP서버프로그램이나 Tomcat과 같은 웹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서버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전용서버를 두는 것을 서버기반모델( server-based-model )이라 하고
별도의 전용서버없이 각 클라이언트가 서버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P2P모델( peer-to-peer)라 한다.
참고 :
'cs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 인코딩 (0) | 2023.03.03 |
---|---|
hostname과 domainname (0) | 2023.01.13 |
절대 경로 / 상대 경로 (0) | 2022.01.17 |
host, cloud (0) | 2021.09.26 |
web이란?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