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기본지식

(13)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 - 문서 내에서 요소를 정의하는 데 태그(tags)를 사용하는 컴퓨터 언어이다. - 가장 잘 알려진 마크업 언어는 HTML과 XML이다. 마크업과 HTML/XML의 구성 - HTML은 웹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이다. 각 웹페이지는 HTML 태그를 통해 구성된다. - , 들은 페이지 섹션을 정의하고, ,,,는 페이지 내 요소를 정의한다 - XML은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 HTML이 사전에 정의된 태그를 사용하는 반면, XML은 요소 정의에 사용자의 개별적인 태그를 사용한다. 때문에 XML을 '확장 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라 한다.
웹(Web) 웹(Web)의 개념 - 월드 와이드 웹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 간단히 줄여서 WWW나 W3라고 부르며, 간단히 웹(Web)이라고 가장 많이 불린다. 인터넷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정확히 말해 웹은 인터넷상의 인기 있는 하나의 서비스일 뿐이다. 웹의 특징 - 웹은 인터넷 상에서 텍스트나 그림, 소리,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공 - 하이퍼텍스트(hypertext)란 문서 내부에 또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참조를 집어 넣음으로써 웹 상에 존재하는 여러 문서끼리 서로 참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 - 이 때 문서 내부에서 또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참조를 하이퍼링크(hyperlink)라고 부른다. 웹에서는 HTML이..
컴퓨터 - 인코딩 궁금증 meta 태그에서 http-equiv 속성은 content 속성에 명시된 값에 대한 HTTP 헤더를 제공한다고 한다. 만약 http-equiv 속성이 명시되어 있다면, 반드시 content 속성도 함께 명시되어야 한다. content- type : 해당 문서의 문자 인코딩 방식을 명시함. 인코딩 동영상이나 문자 인코딩 뿐 아니라 사람이 인지 할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약속된 규칙에 의해 컴퓨터가 사용하는 0과 1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틀어 일컫는다. 디코딩 인코딩의 반대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부호로 만들어진 문장을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전환해줌 Charset (문자셋) character set 웹 브라우저 혹은 HTML 문서가 어떠한 문자셋으로 저장되었는지 명시해놓은 속성 인코딩을 어떤 종류..
hostname과 domainname [ hostname ] - 컴퓨터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정보가 바로 컴퓨터 이름 -> 이 이름이 호스트 이름(hostname) -> 컴퓨터에 명칭(name)을 부여한다. - 컴퓨터에 hostname을 부여하는 행위 -> 컴퓨터 내에서 어려운 말로 지칭하고 있는 해당 컴퓨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별칭을 부여 - 로컬 웹 페이지로부터 SSH 연결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DNS 서버가 없더라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끔 한다. - hostname은 /etc/hosts 파일을 통해서 내 컴퓨터를 찾아간다. - /etc/hosts 파일은 결국 Web에서 DNS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 domain name ] - 호스트 이름은 도메인 이름의 한 가지 특수한 유형이다. - 도메인 이..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클라이언트/서버 ** 네트워크, 네트워킹 ** 네트워킹 : 단말들(컴퓨터, 휴대폰, IoT 기기)을 연결해 주는 것 왜 단말들을 연결하는 걸까? 연결해서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바로 " 통신 " !! 정보를 주고받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단말 간의 통신을 하는 것 이것이 바로 네트워킹의 목적! 연결은 어떻게 하는가? 서버 컴퓨터와 같은 매우 고가의 장비를 여러 대가 아닌 한 대로 여러 명이 네트워킹을 통해서 장비(서버 컴퓨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SSH, FTP 등을 통해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한 대의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함 이것이 발전해서 여러 대 모두를 함께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네트워킹이다. ** telnet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절대 경로 / 상대 경로 절대 경로 : 최상위 디렉토리가 반드시 포함 된 경로 상대 경로 : 현재 디렉토리(비교 대상)를 기준으로 작성된 경로
host, cloud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web이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