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8) 썸네일형 리스트형 끈기 프로젝트 7일 책 : 한국이 싫어서 (저 장강명) 읽은 부분 : 내 생각 : * 10월 7일,8일을 빼먹었다.. 다시 시작해보자! 끈기 프로젝트 6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18 ~20 - IP주소의 이해 -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 IP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게 할당 받을 수 있다. - IPv4의 IP 주소는 32비트, IPv6의 IP 주소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 IP주소의 종류에는 공인 IP주소와 사설 IP주소가 있다. - IP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누어진다. - IP 주소는 A~E클래스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는 A~C클래스를 사용한다. - IP 주소의 클래스별 호스트 수는 A 클래스가 1677만 7214대, B클래스가 6만 5534대, C클래스가 254대다.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컴퓨터에 설정할 수 없다. 끈기 프로젝트 5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17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네트워크 계층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 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IP가 있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 할 때 IP 헤더를 추가한다. (IP 헤더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가 있다.) .. 끈기 프로젝트 4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15~16 - 이더넷에서는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는 규칙으로 CSMA/CD 방식을 사용한다. - MAC 주소는 48비트이다. - 이더넷 헤더는 14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목적지 MAC 주소가 14바이트, 출발지 MAC 주소가 14바이트, 유형이 2바이트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되는 것을 트레일러 라고 한다. -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그 포트에 접속하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MAC 주소테이블이라고 한다. - 스위치가 수신 포트 이외의 포트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플러딩이라고 한다. - 전이중 통신 방식이란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통신 방식이다. - 반이중 통신 방식이란 회선 하.. 끈기 프로젝트 3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12~14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 이더넷에서는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는 규칙으로 CSMA/CD방식을 사용한다 - MAC 주소는 48비트다 - 이더넷 헤더는 14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목적지 MAC 주소가 6바이트, 출발지 MAC 주소가 6바이트, 유형이 2바이트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되는 것을 트레일러 라고 한다.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그 포트에 접속하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MAC 주소 테이블이라고 한다. - 스위치가 수신 포트 이와의 포트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플러딩 이라고 한다. 참조 : 모두의 네트워크(저 미즈구치 카츠야 ) 끈기 프로젝트 2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9-11 물리계층,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 리피터는 네트워크를 중계하기 위한 장비다. - 허브는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른다. - 허브는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 리피터와 허브는 받은 데이터를 보내는 대상뿐만 아니라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 - 허브는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도 부른다. 용어 정리 - 물리계층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하는 역할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 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을 한다. - 전기 신호 : 전기 신호는 전압이 일정 패턴으로 변하여 생기는 일련의 흐름으.. 끈기 프로젝트 1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6-8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 프로토콜 :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표준이다. - OSI 모델 : 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국제 통신 규약이다. :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로 일곱개 계층으로 나눠서 표준화한 통신 규약이며, 현재 다른 모든 통신 규약의 기반이 된다. - TCP/IP 모델 : OSI 모델 7계층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네 개 과정으로 단순화시켜 사용하는 모델 : 인터넷 모델이라고도 한다. - 캡슐화 / 역캡슐화 : 캡슐화는 컴퓨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기술 : 역캡슐화는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하위 계층에서 추가한 정보와 데.. 웰씽킹 - 멘탈을 강화시키기 위해 적용하는 생각 습관 " 탓하기를 멈추고 내 목표에 집중하라 " 탓하려거든 남 탓보다 내 탓을 하라. 그래야 실패에서 배우고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간혹 남 탓보다 내 탓을 하라는 의미를 잘못 이해해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여기서 내 탓이란 질책이나 꾸지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이미 일어난 실패와 실수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하는 걸 말한다. 나의 삶이 한 권의 책이라고 했을 때, 낱장에서 일어나는 실수에 너무 집중할 필요가 없다. 가령 책에 잉크를 떨어뜨렸거나 부주의로 책이 찢어졌더라도 너무 매달리며 자신을 탓하지 말라는 말이다. 그냥 다음 장으로 넘기면 된다. 당신이 다음 장에서 해야 할 것은 다시는 잉크를 떨어뜨리거나 찢기지 않도록 주의하는 일이다. 물론 그런 일이 또 일어나더라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