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끈기 프로젝트

끈기 프로젝트 2일

책 : 모두의 네트워크

 

읽은 부분 : lesson 9-11 물리계층,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 리피터는 네트워크를 중계하기 위한 장비다.

- 허브는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른다.

- 허브는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 리피터와 허브는 받은 데이터를 보내는 대상뿐만 아니라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

- 허브는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도 부른다.

 

용어 정리

- 물리계층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하는 역할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 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을 한다.

 

- 전기 신호

: 전기 신호는 전압이 일정 패턴으로 변하여 생기는 일련의 흐름으로 전압의 변화가 모여서 만들어진 신호다.

  이런 전기 신호들을 주고받음으로써 네트워크에서 사진이나 문서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신호와 대비되는 신호 형태로,  컴퓨터가 인식하는 0 또는 1의 2진수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신호를 말한다.

 

- 랜 카드 

: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 '네트워크 카드'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라고도 불린다.

 

참조 :  모두의 네트워크(저 미즈구치 카츠야)

' > 끈기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끈기 프로젝트 6일  (0) 2023.10.06
끈기 프로젝트 5일  (0) 2023.10.05
끈기 프로젝트 4일  (0) 2023.10.04
끈기 프로젝트 3일  (0) 2023.10.03
끈기 프로젝트 1일  (0) 2023.10.01